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복지 정책 정보/서민-약자-장애인58

cover_item_thumbnail5 노숙인 쪽방 주민 보호 강화 및 자립 지원 정책 서울시에서는 거리노숙인 및 쪽방 주민들에 대해 보호 및 의료지원 체계를 갖추어 관리를 하고 연중 지속적으로 거리노숙인 보호체계를 운영하고 있기에 오늘은 서울시 재활복지정책 중 하나인 노숙인 쪽방주민 보호 강화 및 자립지원계획에 대해 알아보려 합니다. 이 정책은 주거취약 계층을 위한 복지정책으로 지속적으로 시행을 하고 있습니다. 노숙인 쪽방주민 보호 강화 및 자립지원 제대로 된 숙식시설이 아닌 쪽방촌에서 안전하고 편하게 여름 및 겨울을 보낼 수 있도록 지원하고 거리노숙인을 위해서는 의료지원과 현장지원을 강화하여 보호체계를 운영하고 있습니다. 또한 종합지원센터 3곳, 일시보호 4개소 운영 중이며 거리노숙인에게 시설입소 안내 및 임시주거 제공에 대한 서비스를 안내 및 지원하고 있습니다. 또한 무료진료소를 확대.. 2022. 6. 20.
cover_item_thumbnail5 발달 장애인 공공후견지원 사업 지원 대상 및 신청 한국에서는 19세 이상의 성인이면 누구나 개인회생을 신청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치매 노인 등 의사결정 능력이 떨어지는 사람들은 스스로 법적 행위를 할 수 없어 어려움을 겪는 경우가 많습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정부는 2013년 7월 민법 개정을 통해 성년후견제도를 도입했습니다. 기존의 금지·한정소득자 가족제도를 폐지하고 보호자 선임절차를 간소화해 재산관리는 물론 치료·의료 등 신변보호까지 지원할 수 있게 됐습니다. 2017년 2월부터는 '발달장애인'까지 가정법원의 판단을 받아 법정대리인 역할을 하는 특정 후견인과 임의후견인을 선임할 수 있게 됐습니다. 하지만 일반인들에게 생소한 개념이라 관련 정보를 찾기는 여전히 어렵습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발달장애인에 대한 공적후견지원사업을 조사하고,.. 2022. 6. 20.
cover_item_thumbnail5 장애인 집에 방문했을 때 지켜야 할 에티켓 장애인 활동 지원 제도 법률적 개요 이동이 불편한 장애를 가진 장애인은 외부로 출입하는 것이 상당히 번거롭고 힘이 드는 것은 사실입니다. 그래서 외출보다는 친구들을 집으로 초대하는 것을 상당히 즐기는데요, 하지만 초대를 받은 입장에서 장애인의 집에 가게 되면 지켜야 할 기본적인 에티켓이 있어서 그것에 대해 설명을 해보고자 합니다. 장애인 집에 방문했을때 초대를 한 장애인이 휠체어 이용자일 수도 있고 목발을 이용하는 장애인일 수도 있지만 중요한 것은 그들의 동선에 방해될만한 물건을 바닥에 아무렇게나 두면 안된다는 것입니다. 일반인들처럼 바닥에 있는 물건을 쉽게 옮겨 놓지 못하기 때문이며, 휠체어가 넘어가지 못할 수도 있기 때문입니다. 초대받은 자리가 끝나고 나가기 전에 물건을 정리해주는 것도 하나의 방법이.. 2022. 6. 20.
cover_item_thumbnail5 장애 수당/장애 아동 수당 법적 개요 보건복지부는 2021년 기준 18세 미만 등록아동에게 장애등급과 소득수준에 따라 매달 장애아동수당 일정액을 지급하고 있습니다. 그럼 장애아 아동수당을 신청하는 방법은 무엇인가요? 또한, 여러분이나 여러분의 가족 중 누군가가 장애아를 가지고 있다면, 여러분은 어떤 다른 혜택을 받을 수 있나요? 마지막으로 매달 받는 장애아동수당 외에 또 어떤 복지서비스가 있는지 알아보겠습니다. 장애 수당 장애 수당 지급대상 장애 수당 지급 대상은 다음 아래의 사항을 모두 포함해야 합니다. 만 18세 이상의 등록장애인 국민기초생활수급자 및 차상위계층 장애인연금법상 중증장애인에 해당하지 않는 자(종전 3급 - 6급) 즉 만 18세 이상이면서 저소득층이 국민기초생활수급자이어야 하며 중증 장애인은 지원이 불가능합니다 또한 만 20.. 2022. 6. 18.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