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에서는 가정에서 육아 및 양육을 하는 부모의 고립육아 해소 및 지역 돌봄공동체 활성화를 위해 열린육아방을 복지 정책선에서 지원을 하고 있습니다. 오늘은 열린 육아방에 대해 알아보고자 합니다.
서울시 열린육아방
아직 취학 전 영유아를 양육하고 있는 가정에서는 누구나 이용이 가능하며 서울시가 운영을 하는 만큼 안전한 놀이공간과 부모와 함게하는 프로그램 및 지역사회 주민간 자녀돌봄 품앗이 활동으로 지역 주민간의 유대감도 형성하고 아이들의 성장과정에 맞는 다양한 놀이 프로그램을 통해 교육발달을 촉진하고 있습니다.
서울시 열린육아방 운영현황(2020년 기준)
모바일에서도 아래 리스트를 쉽게 볼 수 있도록 이미지 파일올 접은글에 올려 놓았으니 필요하신 분은 접은 글을 참고하시길 바랍니다.
서울시 열린육아방 운영현황

연번
|
자치구
|
시설명
|
면적(㎡)
|
주소
|
전화번호/홈페이지
|
1
|
종로
|
하늘놀이터
|
41.22
|
종로구 성균관로1길 6-3
종로구육아종합지원센터 4층 |
☎ 495-0030 / 홈페이지
|
2
|
중구
|
키즈앤맘
|
43,73
|
서울특별시 중구 다산로32길 5
|
☎ 735-0890 / 홈페이지
|
3
|
동대문
(2)
|
꿈자람공동육아방
답십리점 |
130.05
|
서울시 동대문구 황물로 62, 2층
|
☎ 2247-5843
|
4
|
꿈자람공동육아방
제기점 |
170.44
|
서울시 동대문구 약령시로 7길 19, 2층
|
☎ 923-2272
|
|
5
|
중랑
(9)
|
아이틔움
|
140
|
서울시 중랑구 망우로67길 10
|
☎ 495-0030 / 홈페이지
|
6
|
면목
|
202
|
서울시 중랑구 동일로 591
|
☎ 439-6722 / 홈페이지
|
|
7
|
중화
|
100
|
서울시 중랑구 중랑역로3길 28
|
☎ 436-3681 / 홈페이지
|
|
8
|
상봉키움
|
78
|
서울시 중랑구 신내로7가길71
|
☎ 435-0032 / 홈페이지
|
|
9
|
장미향기
|
91
|
서울시 중랑구 중랑천로 252-1
|
☎ 977-0032 / 홈페이지
|
|
10
|
아이사랑
|
101
|
서울시 중랑구 망우로60길 37
|
☎ 437-1123 / 홈페이지
|
|
11
|
햇살아래
|
104
|
서울시 중랑구 신내역로131
|
☎ 3421-1120 / 홈페이지
|
|
12
|
먹골꼬마
|
48
|
서울시 중랑구 공릉로12가길 70-15
|
☎ 949-0032 / 홈페이지
|
|
13
|
도란도란
|
66
|
서울시 중랑구 봉화산로30길 89
|
☎ 491-1123 / 홈페이지
|
|
14
|
성북
(2)
|
하늘이음 열린육아방
|
84
|
서울시 성북구 성북로 4길
하늘이음교회 2층 |
☎ 743-9413 / 홈페이지
|
15
|
|||||
장위 행복누림
열린육아방 |
56
|
서울시 성북구 장위로21다길 53
|
☎ 2241-0780~2 / 홈페이지
|
||
16
|
강북
|
강북구 열린육아방(육아카페)
|
40.36
|
서울시 강북구 인수봉로66길 9
|
☎ 994-7480
|
17
|
노원
(2)
|
도담도담나눔터
|
202
|
서울시 노원구 동일로227길 49
|
☎ 939-1955 / 홈페이지
|
18
|
공릉2동 열린육아방
|
78
|
노원구 화랑로51길 78
공릉비선아파트 503동 101호 |
☎ 971-1955 / 홈페이지
|
|
19
|
은평
|
은평 열린육아방
|
59
|
은평구 진흥로 265
북한산래미안아파트 주민공동시설 1층 |
☎ 351-4929 / 홈페이지
|
20
|
서대문
|
남가좌동 열린육아방
|
77
|
서울시 서대문구 모래내로 15길 31
|
☎ 3217-9550 / 홈페이지
|
21
|
양천
(4)
|
희망 열린육아방
|
172
|
서울시 양천구 중앙로 32길1
신정1동 주민센터 4층 |
☎ 2062-7794 / 홈페이지
|
22
|
해맞이 열린육아방
|
159.6
|
서울시 양천구 지양로 37
(구)신월청소년독서실 1층 |
☎ 2699-7992 / 홈페이지
|
|
23
|
해우리 열린육아방
|
180
|
서울시 양천구 목동중앙남로57-10
목사랑고객주차장&공유센터 2층 |
☎ 2062-9010 / 홈페이지
|
|
24
|
해누리 열린육아방
|
42.9
|
서울시 양천구 목동동로 81
해누리타운 3층 |
☎ 2646-7790 / 홈페이지
|
|
25
|
영등포
(5)
|
신길4동 열린육아방
|
173
|
서울시 영등포구 신길로 40길 5
영등포구육아종합지원센터 3층 |
☎ 833-6022 / 홈페이지
|
26
|
영등포자치회관
열린육아방 |
93
|
서울시 영등포구 국회대로 44길 4
영등포동 자치회관 |
☎ 070-7728-8794 / 홈페이지
|
|
27
|
당산1동 열린육아방
|
150
|
서울시 영등포구 선유동1로 80
영등포구청 별관 |
☎ 2633-6027 / 홈페이지
|
|
28
|
당산2동 열린육아방
|
130
|
서울시 다산로41가길7
당산2동 주민센터3층 |
☎ 2637-6027 / 홈페이지
|
|
29
|
영등포동주민센터
열린육아방 |
53
|
서울특별시 영등포구 영등포로53길 22
영등포동주민센터 |
☎ 2670-1024
|
|
30
|
동작
(2)
|
맘스하트카페 흑석점
|
39
|
동작구 흑석한강로 11
흑석동주민센터 2층 북카페내 |
☎ 070-7163-1461 / 홈페이지
|
31
|
맘스하트카페
신대방2동점 |
143
|
동작구 여의대방로24길 76
신대방2동주민센터 5층 |
☎ 070-7163-1460 / 홈페이지
|
|
32
|
서초
(2)
|
서리풀문화광장
함께키움센터 공동육아실 |
74.73
|
서울시 서초구 서초동 1498-4번지, 2층
|
☎ 597-9340
|
33
|
내곡육아지원센터
|
36.08
|
서울시 서초구 청계산로15길 77
1층 공동육아방 |
☎ 578-9340
|
|
34
|
송파
|
열린육아방 위례점
|
87.93
|
서울시 송파구 위례동
위례포레샤인아파트 2302동 1층 |
☎ 1644-3250 / 홈페이지
|
35
|
강동
|
명일2동 마을활력소 열린육아방
|
33
|
서울시 강동구 구천면로502, 2층
|
☎ 3425-7495
|
열린육아방과 공동육아나눔터 공통점 및 차이점
구 분
|
열린육아방
|
공동육아나눔터
|
운영목적(공통)
|
가정양육 부모의 고립육아 부담 해소 및 핵가족화로 약화된 가족돌봄 기능 보완
|
|
운영시간(공통)
|
월~금, 10시~18시
|
|
이용대상
|
만 6세 이하 영유아 및 부모
|
만 18세 미만 자녀 및 부모
|
서울시 정책에 대한 신고, 제안 및 건의 등은 응답소 누리집(전자민원사이트)을 이용하여 신청해주시기 바랍니다.
서울시 아동 공동생활가정 지원 제도
서울시에서는 보호가 필요한 아동에게 일반 가정환경과 흡사한 주거여건을 조성하고 보호 및 케어를 제공함으로써 아동의 가정 친화적 육성으로 올바른 길을 걸을 수 있도록 지원하고 있습니
gegulacgi0001.tistory.com
서울시 아동급식 지원 정책
서울시에서는 가정형편이나 주소득자의 문제 등 기타 여러 가지 가정 내 사정으로 제대로 하루 권장량의 식사를 제대로 할 수 없는 아동에게 급식을 지원하여 건강과 생활고로 인한 정서적 압
gegulacgi0001.tistory.com
서울시 아동안전 보호사업 지원 정책
서울시는 아동의 안전과 보호를 위해 체험위주의 다양한 안전교육을 지원함으로써 어릴 적부터 안전사고에 대한 의식을 심어주고 향후 선진국형 안전 시민의식이 정착될 수 있도록 노력하고
gegulacgi0001.tistory.com
서울시 아동 공동생활가정 지원 제도
서울시에서는 보호가 필요한 아동에게 일반 가정환경과 흡사한 주거여건을 조성하고 보호 및 케어를 제공함으로써 아동의 가정 친화적 육성으로 올바른 길을 걸을 수 있도록 지원하고 있습니
gegulacgi0001.tistory.com
서울시 성평등기금 개요 및 투자출연기관 임금공시
성평등기금이란 지방자치법 제159조, 양성평등 기본법 제42조, 서울특별시 성평등 기본조례 제39조에 의거하여 남녀평등의 촉진과 여성의 사회참여 확대 등 성평등을 촉진하기 위한 정책의 원활
gegulacgi0001.tistory.com
서울특별시 아동복지센터 지원 현황
서울시에서는 가정 문제로 인하여 거주할 곳이 없거나 학대나 가정 내 성폭력으로 인해 보호가 필요한 경우를 위해 아동 일시 보호시설 및 운영을 관할하는 아동복지센터를 운영하고 있습니다.
gegulacgi0001.tistory.com
서울시 청소년 방과후 아카데미 시설 현황
서울시는 맞벌이 및 한부모가정 청소년들의 방과 후 돌봄을 지원함으로써 안정적인 생활기반과 올바른 교육지원을 부모가 없는 시간대의 청소년들에게 적극적인 지원을 하고 있습니다. 111111111
gegulacgi0001.tistory.com
서울시 아이 돌봄 서비스 종류와 이용 안내
부모의 맞벌이가 늘어남에 따라 양육공백이 발생한 가정의 만 12세 이하 아동을 대상으로 돌봄 서비스를 제공하여 부모의 양육부담을 덜어줌과 동시에 시설보육 사각지대를 보완하고자 임시보
gegulacgi0001.tistory.com
'복지 정책 정보 > 아동-여성-청소년' 카테고리의 다른 글
경기도 청소년 교통비 지원 대상과 신청 방법 (0) | 2022.07.08 |
---|---|
서울특별시 아동복지센터 규모와 주요 기능 (0) | 2022.07.07 |
서울시 공동육아 나눔터 운영 현황과 시설 안내 (0) | 2022.07.07 |
서울시 아이 돌봄 서비스 종류와 이용 안내 (0) | 2022.07.07 |
서울시 온마을 아이돌봄 체계 및 운영 현황 (0) | 2022.07.07 |
서울시 청소년 방과 후 아카데미 시설 현황 (0) | 2022.07.07 |
댓글